본문 바로가기
[硏 Ⅰ] 연구하다 - 교양/경제학

거시경제 정리 1

by 천매 2021. 8. 11.

경제 데이터 : 경제 현실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 객관적으로 제공함. 

- 통상 GDP : 국내총생산

- CPI : 소비자물가지수

- 실업률

 

GDP :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에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가치 총액 

- 한 나라 안에서 : 외국인도 포함

- 일정 기간 : 보통 매년 단위로 측정(연율화, annualization)

- 재화 : 최종재. 중간재는 포함되지 않음. 

- 용역 : 무형의 생산품 

- 시장가치 : 합법적, 측정가능한 시장. 지하경제나 가사노동 등은 포함하지 않음

 

- 소득과 지출의 항등성

- 한 나라 경제구성원의 총소득 = 재화 용역의 산출에 대한 총지출 

- 모든 거래에는 매수자와 매도자가 존재. 매수자의 지출은 매도자의 소득. 

 

 

GDP 구성요소 

- Y = C(Y-T) + I(Y,i) + G + NX(X-M)

- Y : 국내총생산

- C : 소비

- Y-T : 가처분소득 ( = 소득 - 세금)

- I : 투자

- i : 이자율

- G : 정부지출

- NX : 순수출. 수출과 수입의 차이( = X - M)

 

C(Y-T) = 소비

- 소비는 가계가 구입한 재화(내구재, 비내구재. 중고품은 제외)와 용역. 

- 귀속 임대료(imputed rents) : 집 소유자는 스스로에게 임대료를 지불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소비에 포함. 만약에 집을 소유하지 않았다면 그 임대료를 내는 만큼 소비를 하지 못했을 것이기 때문. 

- C가 Y-T에 대한 함수에 쓰인 것은 소비가 가처분소득에 의존함을 의미. 보통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면 소비가 늘어나는데 이것이 한계소비성향(MPC, marginar propensity to consume).

 

I(Y,i) = 투자

- 재화를 미래에 사용할 목적으로 구입하는 것. 자본을 증가시킨다. 

- 1. 기업의 고정투자 : 새로운 공장, 장비에 대한 투자

- 2. 주거용 고정투자 : 새 집을 구입하는 행위. (향후 그 집에서 주거 서비스를 얻기 때문)

- 3. 재고투자 : 기업이 생산한 재화(원재료~완제품 모두) 중 아직 판매되지 않은 것. 

- 재고투자가 높아 GDP 성장률이 높다면, 경제성과가 좋지 못한 것. 소비가 부진하고 경제의 총수요가 생산보다 저조. 

 

- 투자는 Y, i(산출, 이자율)에 의존한다. 

- 산출이 증가하면 소득 증가로 판매가 늘어나고 재고 감소, 기업의 생산 증대의 유인 발생, 투자 증대. : 양의 관계

- 이자율이 상승하면 신규 설비투자를 위한 차입비용이 증대, 투자 감소. : 음의 관계

 

G, T = 정부지출, 세금

- 정부는 T(세금)으로 얻은 재원으로 재정정책을 수행하기 위해 G(정부지출)을 한다. 

- T를 늘리면 Y-T(가처분소득)가 줄어 소비 감소.

- G를 증가시키면 가계의 소득이 늘어 소비 증가. 

 

- 정부지출 증가(ΔG)의 효과 : 정부가 지출을 ΔG만큼 증가(최초 소비 증가)시키면 총수요가 그만큼 늘고, 이를 받은 소비자는 ΔG*MPC(한계소비성향)만큼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것을 받은 다른 소비자는 ΔG*MPC^2만큼 소비를 증가시킨다... 반복되면 ΔG/(1-MPC)만큼 총소비가 증대된다. 

- 정부 세금 감축(ΔT)의 효과 : 정부가 세금을 ΔT만큼 줄이면 가처분소득이 그만큼 늘고, 이는 ΔT*MPC만큼의 소비증가(최초 소비 증가)를 유발한다. 이것의 거래 상대방은 ΔT*MPC^2만큼 소비를 증가시킨다... 이것이 반복되면 ΔT*MPC/(1-MPC)만큼 총소비가 증대된다. 

 

- 만약 증세 ΔT와 정부지출 ΔG를 같게 한다면 ΔG/(1-MPC)-ΔT*MPC/(1-MPC)=ΔG만큼 소비가 증가한다. 

- 물론 소득 계층마다 MPC가 다른데, 부유층이 저소득층보다 낮다. 세금징수 증가는 부유층에 집중되며, 정부 지출 증가는 저소득층을 위해 쓰인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면 부유층의 증세로 인한 감소 소비 규모보다 저소득층의 지출 증가로 증가하는 소비규모가 더 크므로, 경제 전체의 총수요와 산출이 증가한다. 

 

- 정부의 채권발행으로 정부지출을 ΔG 늘리는 경우 부정적 효과 : 

- 1. 구축효과(crowding out effect. 회사채 수요를 밀어내기 때문) : 나라 경제에는 채권을 살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있다(신용가능성, credit availability의 제한성). 정부가 국채 발행을 늘릴 경우 다른 채권(회사채 등)에 대한 수요가 감소한다. 이 상황에서 회사는 회사채를 싸게 발행하고 발행금리를 올려야 한다.(= 기업의 조달금리 상승, 시장금리 상승) 이로 인해 투자비용이 증가, 투자를 저해하고 산출을 위축한다. 

- 2. 자국통화 절상효과(appreciation effect) : 이자율이 오를 것으로 기대되면 나라 자산(예금, 채권)에 대한 투자 기대수익이 상승한다. 이때 외국에서는 이 나라 자산을 구입하기 위해 이 나라 통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통화 가치가 상승한다. 이로 인해 수출경쟁력이 약화되어 수출이 줄고 수입이 늘어 순수출이 감소하며, 결과적으로 총수요와 산출이 감소한다. 

 

- 정부가 세금을 ΔT 감축할 경우 승수효과를 상쇄하는 부정적 효과 : 

- 1. Ricardian equivalence : 세금 감축에 의해 가처분소득이 늘어나지만 소비자들이 이를 모두 소비하는 것은 아니다. 세금 감축으로 인한 재정적자를 메꾸기 위해 세금을 다시 올릴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향후의 증세에 대비해 저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금감축의 승수효과는 당초 기대보다 작아진다. 이 효과는 소비자들이 향후 증세 가능성에 대한 기대에 의해 결정되는데, 매우 보수적인 경우 소비자들이 가처분소득 증가분을 모두 저축한 경우 승수효과는 모두 상쇄된다. 

 

NX(X-M) = 순수출(Net eXport)

- 수출과 수입의 차이이다. 

- 수출은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재화나 용억이 외국인에 의해 구매된 것. C, I, G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GDP에 포함된다. 

- 수입은 자국 외에서 생산된 것을 국내 거주자가 구매한 것. C, I, G에 포함되지만 자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았으므로 GDP에서 빠져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입액을 GDP에서 차감한다. 

- 수출>수입일 때 순수출이 +이고 경상수지(current account)가 흑자. 반대의 경우 적자. 

 

 

 

명목 GDP

- 한 나라에서 일정기간동안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총액을 경상가격(=실제 시장가격)으로 표시한 것. 

- 재화, 서비스 생산량이 늘거나 경상가격이 상승하면 명목 GDP는 증가.

- 한 나라 경제 규모, 구조의 지표

 

실질 GDP : 불변가격, 성장률

- 한 나라에서 일정기간동안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가치를 불변가격(=기준년도의 가격)으로 표시한 것. 

- 재화와 서비스의 양이 증가할 경우에만 증가하고, 그 가격 상승으로 인해 증가하지는 않는다. 

- 경제 성장, 변동을 본석할 때 사용된다. 

 

- t기 경제성장률 = (t기 실질GDP - t-i기 실질GDP)/(t-i기 실질GDP)*100 %

- i가 1일 경우 전분기 대비 경제성장률. 이때 경제성장률에 4를 곱하면 1년동안 경제성장률로 바꿀 수 있다(연율화, annualization). 선형적 가정 포함. 

- i가 4일 경우 t분기의 전년 동분기 대비 경제성장률. 

 

GDP 디플레이터(defaltor)

- t년도의 GDP 디플레이터 = (t년도 명목 GDP)/(t년도 실질 GDP)*100 %

- 이 비율이 1보다 크면 물가상승 효과. 따라서 명목GDP의 효과가 재화 용역 산출량 증가에 의한 것과 구분 가능. 

- 한 나라 총생산의 전반적인 물가수준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예년도에 비해 상승하는 것은 인플레이션(π). 

- π = 직전 GDP 디플레이터 대비 현재 GDP 디플레이터의 비율. (%)

 

잠재 GDP 

- 한 나라가 완전고용 수준의 노동력과 정상적인 자본활용을 통해 생산할 수 있는 수준의 GDP.

- 한 나라가 장기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GDP

 

- GDP 갭(gap) : 실제 GDP - 잠재 GDP

- GDP 갭이 + : 생산요소의 사용이 과하다. 경제 상승기 혹은 과열. 수요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있음. 

- GDP 갭이 - : 생산요소의 사용이 적다. 경제가 수축기에 있다. 

 

구매력평가 GDP (Purchasing Power Parity GDP)

- 각 나라의 통화는 물가수준을 감안할 때 다른 구매력을 가지고 있다. 

- A국의 1인당 GDP가 100$, B국은 600$이고, B국의 물가수준이 A국에 비해 2배로 높다면, B국의 1인당 GDP는 구매력 측면에서 볼 때 A의 3배에 해당한다. 

 

GDP의 한계

- 나라마다 다른 사회보장제도, 사회간접자본, 물가수준 등 실질적인 삶의 질을 반영하지 못한다. 

- 사회보장제도, 사회간접자본, 물가수준 등은 국민들의 실질 가처분소득에 영향을 주는데 GDP는 그것을 설명 못한다. 

 

- 물론 GDP를 대체할 마땅한 지표가 없다. 그래서 잘 쓰이고 있다. 

 

 

 

GDP와 시장변수 간의 관계

- GDP 발표 이후에 시장 변수들이 즉각 반응한다. 

- 반응은 3단계로 나뉜다. (1. 발표 2. 새로운 정보 3. 위험선호와 위험회피- Risk-On, Risk-Off)

 

- 1. 만약 한국의 GDP 데이터가 양호하게 발표되면 원화의 강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GDP 데이터가 좋으면 한국 자산의 가치상승이 기대되고 이에 따라 한화의 수요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물론 항상 이렇게 되지는 않는데, 시장변수들은 현 시점의 경제 데이터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 데이터가 함축하고 있는 향후 기대에 반응하기 때문이다. (= 이미 알려진 정보가 아닌 새로운 정보에 반응한다)

- 2. 시장변수들은 새로운 정보에 반응한다. 만일 한국의 GDP 데이터가 본래 기대치를 웃돌게 되면 시장참가자들은 한국 경제를 더 낙관적으로 보고 한국 자산을 매입한다. 이로 인해 원화 가치는 상승한다. 만약 GDP 데이터가 양호하지만 기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한국 자산을 매도할 것이다... 

- 3. 만약 세계 경제가 위기에서 회복되는 경향을 보일 때, 시장참가자들이 안전한(예를 들어) 원화를 팔고 고수익이 기대되는 엔화를 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면, 한국 GDP 데이터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원화가 약세를 보인 것이므로 리스크 자산을 취하는 Risk-On 현상이다. 반대로 원화를 포함해 세계가 경제 침체에서 잘 벗어나지 못할 때는 원화가 안전자산이므로 한국의 GDP 데이터가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강세를 보일 수 있다. 이는 위험 회피현상인 Risk-Off이다. 

(한국의 원화를 미국의 달러로 바꾸고 엔화를 호주 달러로 바꾸면 현실과 가까운 일이었을 것이다) 

- 이와같이 RO-RO는 경제지표보다 시장 리스크에 우선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흔하다. 

- 시장참가자의 행동이 Risk-Off에서 Risk-On으로 바뀌는 것을 great rotation, 반대는 reverse great rotation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