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지점들
언어학자 Charles Hockett은 형태소와 음소를 구조적으로 구분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의미에 대한 형식의 두 가지 층렬 관계를 설명하고, 자신이 이중조음(double articulation)이라고 불렀던 특성을 지적하였다. 형태소는 문법기능이나 특정 의미를 전달하는 최소의 언어학적 단위이다. 음소는 특정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지만 변별적이거나 신호적인 차이를 제공하는 최소단위이다. 소리-의미의 지도화에서 이중조음은 인간 언어가 비교적 작은 말소리 체계의 목록을 사용해서 커다란 단어집을 위한 변별적 음운형식을 만들도록 해 준다. 동물의 의사소통 체계가 단어의 음운론적 형식을 위한 이러한 이중-단계 부호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 있지 않다. 확실히, 인간이 아닌 종의 의사소통 체계 대부분은 '발화'를 단순히 일대일 방식으로 의미에 연결짓는 것 같다.
영어 원어민은 말하기에서 이와 같은 음보단위에 대한 암죽적 지식을 갖고 있는가? 몇몇 사람들은 허사적 접요사화(expletive infixation) 검사를 제안해 왔다. 오스트레일리아 영어에서 bloody는 말로 표현된 발화에 분명히 자유롭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에는 제한이 있다. (Woolon[bloody]gabba는 괜찮지만 Woolbloodyongabba는 안괜찮음) 규칙은 bloody가 음보 경계에서만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 말하는 이가 음보 경계에 대한 암묵적 지식을 갖고 있다면, 허사적 접요사화에 대한 분명한 직관 또한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지시체 그리고 정확하게는 지시되는 것에 대한 절충은 많은 대화적 교환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실질적인 것만을 언급하지 않으며, 특히 그 가운데 일부분은 언어장애를 포함하는 자연언어 처리에 대한 거대한 이론적 문제이다. 언어표현에서 실질적으로 그리고 어휘적으로 머리에 떠오르는 구성성분은 지시체를 전달할 수 있다. 전체 문장은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지시체를 만들 수 있고, 이어지는 담화에서 대명사에 의해 색인이 만들어진다.
'[樂] 즐기다 > 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 (0) | 2021.09.14 |
---|---|
파시스트 되는 법 (1) | 2021.09.11 |
상고어의 재구 (0) | 2021.08.30 |
조만간 읽을 신경언어학 (0) | 2021.08.25 |
<데스노트에 이름을 쓰면 살인죄일까?>를 읽고 (0) | 2021.06.30 |
댓글